티스토리 뷰
요즘 정말 국내장이 소란스러운데요. 많은 분들이 ETF에 대해 관심이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 오늘은 ETF의 정의부터 투자 방법 및 꿀팁까지 대 방출 할 예정입니다.
항상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시작해보겠습니다.
ETF 뜻?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우리나라 말로 정의하면 상장 지수펀드입니다.
ETF는 자산 운용사에서 만들어서 상장하는 방식으로, 개인도 주식처럼 쉽게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ETF의 이름 앞에는 상품(상장)을 내놓은 운용사의 이름이 붙습니다.
미래에셋 자산운용 | TIGER |
삼성자산운용 | KODEX |
키움투자자산운용 | KOSEF |
ETF특징
가장큰 특징으로는 주식시장에서 아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펀드의 경우 절차가 상당히 복잡한 반면에 ETF의 경우 내가 원할 때 언제든지 매도 매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증권사 어플을 통해 언제든지 가능하다)
ETF는 펀드의 개념으로 일반적인 주식처럼 하나의 기업또는 개별 기업이 아니라 작은거는 수십개부터 수백개의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라서 투자하는 ETF의 성격이 달라진다고 보면됩니다.
ETF 종류
ETF의 크게 총 3가지로 주식형, 채권형, 원자재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세분화 시키면 상품, 레버리지, 해외지상, 주가지수, 인버스, 산업, 이외 등등 각각 추종 하는 방향성에 따라 종류가 세분화되어 나누어진다고 보면됩니다.
주식형 | 해외(미국), 국내 |
채권형 | 해외(미국), 국내 |
원자재형 | 금,은, 곡물 등 |
ETF 시작하기
ETF를 시작하려면 뭐부터 해야할까?
우선 매도와 매수를 하기위해 증권용 종합계좌가 있어야합니다.
종합계좌는 증권사에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데요.
요즘은 굳이 증권사를 안찾아가도 어플을 통해 바로 만들 수 있습니다.
증권사 어플설치 -> (각 증권사 메뉴에서) 종합계좌 개설 -> 계좌가 만들어 졌다면 투자할 자금 이체
ETF 증권사 추천
증권사는 삼성, 농협, 국민, 미래애셋 등등 여러 증권사가 있습니다.
요즘은 증권사가 다 비슷비슷하기 때문에 자주 거래하시는 증권사나 이용하기 편한 증권사 아무곳이나 선택하시면 됩니다.
효율적인 투자방법
앞서 주식형, 채권형, 원자재형으로 크게 3가지로 분류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에따라 효율적인 투자를 위해 내 개인의 자산, 소득, 나이등에 맞춰서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ETF는 지수형태의 투자로 장기적으로 봤을 때 우상향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길게보고 하는 투자가 좋습니다.
최근 시끄러운 국내장 보다는 꾸준히 상승하는 미국 ETF가 조금더 합리적여 보입니다. 유튜브, 넷플릭스, 비자카드, 맥도날드, 애플, 구글 등등 이제는 때어놓으려해도 이미 우리 일상에 많이 들어와있는 미국 서비스를 사용하고있는 입장에서 지금과 같은 흐름이 계속 이어질것으로 전망됩니다.